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불교철학2

[철학] 불교철학 1. 무아(無我)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단순히 자아가 없는 것인가? 아니면 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가? 석가는 침묵했다. 자기의 실체가 없는 것. 윤회의 주체이다. 유아의 반대로 해석하게 되면 윤회의 주체를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무아지만 윤회가 가능하다. 2. 석가가 최초로 설법한 사성제(四聖諦)에 대해 설명하세요. 사성제 –고집멸도, 고통의 원인은 무엇인가? 제거할 수 있다. 어떤 수행을 해야 하는가? 그것이 도이다.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고제 : 인생은 괴로움의 연속이다. 욕망은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욕망으로 투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인간 세상의 고통은 그칠 날이 없다. 집제 : 이런 괴로움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 (연기에 의해서) 무지와 욕망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존재하기 위한 원인.. 2022. 7. 13.
[철학] 불교의 자연관 한국불교 문화에는 환경을 파괴하는 모습도 있고, 자연과 친화적인 모습도 있다. 불교사찰에서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고 산림을 훼손한 사례가 적지 않게 보도되고 있지만, 또 그와 반대로 한국불교 문화 속에서는 환경을 적게 오염시키고 자연을 보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덕목과 시설도 남아있다. 불교사찰이 자연을 훼손하는 부정적인 모습은 자연림을 훼손하는 것,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 쓰레기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훼손은 관광지로서의 사찰의 환경, 사찰 관계자들의 환경적 지식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 무분별한 사찰의 불사, 관리의 부실, 사찰 환경문제에 대한 참여와 연대의 부족, 환경교육과 홍보의 부족 등이 그 원인이다. 그에 반해, 친환경적인 덕목과 시설로서 불살생의 생명 운동인 ‘채식 문화’, 음식쓰레기 문.. 2022.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