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적당히 공부하기/인문학

[철학] 불교철학

by som-mong 2022. 7. 13.
반응형

1. 무아(無我)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단순히 자아가 없는 것인가? 아니면 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가?
석가는 침묵했다. 자기의 실체가 없는 것. 윤회의 주체이다. 유아의 반대로 해석하게 되면 윤회의 주체를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무아지만 윤회가 가능하다.


2. 석가가 최초로 설법한 사성제(四聖諦)에 대해 설명하세요.
사성제 –고집멸도, 고통의 원인은 무엇인가? 제거할 수 있다. 어떤 수행을 해야 하는가? 그것이 도이다.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고제 : 인생은 괴로움의 연속이다. 욕망은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욕망으로 투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인간 세상의 고통은 그칠 날이 없다.
집제 : 이런 괴로움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 (연기에 의해서) 무지와 욕망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존재하기 위한 원인과 조건이 있다.
멸제 : 이런 고통은 없앨 수 있다. 무지에서 벗어난다면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고통이라는 것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원인이나 조건을 제거하면 고통은 사라진다. 욕망이 고통이라면 꾸준한 수행을 통해서 욕망을 단절한다. 이를 해탈이라 한다. 공, 무아, 무생
도제 : 고를 제거할 수 있는 구체적 수행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고통의 소멸할 수 있는 올바른 8가지 수행 방법 제시. (팔정도) 아주 없앤다는 것은 원초적인 것을 없앤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수행을 통해 억제하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 번뇌의 활동은 어느 정도 소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반에 이르는 길은 팔정도를 수행하는 것이다. 팔정도는 중도의 구체적 실현 방법이다.


3. 석가의 불교가 다른 일반적인 종교와의 차이점에 관해 설명하세요.
주지주의적 면모. 권위주의를 떠난 종교를 가르침. 의식을 반대하고 의식 없는 종교를 가르침. 천상의 일에 대한 공허한 것이 아니라 지상의 문제에 대한 것. 내세의 운명에 관한 것이 아니라 현실의 인간에 대한 실질적인 것. 자기의 노력만 강조


4. 석가가 파악했던 인생의 괴로움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러한 괴로움의 원인은 무엇이라 설명하는가?
인생의 괴로움을 3가지 고고성, 행고성, 괴고성으로 분석해서 설명한다.
고고성이란 고연, 원래부터 괴로움인 조건에서 생겨낸 고라는 의미이다. 극심한 추위, 무더위, 심하게 목이 마른 갈증의 상태를 말한다. 자연적이고 일상적인 고통을 의미한다.
행고성이란 모든 존재가 변함으로써 우리에게 나타난 괴로움을 말한다. 존재의 무상함을 가리키는 말. 어떤 현상에 변화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을 말하며 정서적인 불안이라고 할 수 있다.
괴고성은 즐거움을 누리던 대상이 파괴됨으로써 우리에게 괴로움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던 사람이 파산을 통해 인생의 비애를 느끼는 것, 아름답게 피었던 꽃이 꺾인 것을 보았을 때 느끼는 고통을 의미한다. 애착을 가졌던 것이 파괴되었을 때 그것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괴로움을 의미한다. 그러한 괴로움의 원인을 인간의 무명과 욕망에서 찾았다.
㉠ 연기설의 내용 : 신의 존재를 거부. 신의 사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 수 있고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것. 인간 해방. 연기설이란, 인연생기의 줄임말이다. 원인, 조건, 생겨나다, 일어나다 뜻으로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서로 원인, 조건이 되어 생겨난다는 뜻이다.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서로 얽혀있다고 한다. 연기에 대한 진리를 깨닫는 것을 한 글자로 명이라고 한다. 연기에 대한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것은 무명이라고 한다.
㉡ 교육 방법의 기본 입장 : 자기 의존적인 면의 강조. 진정한 개인주의의 입장. 자기가 자기 인생의 주인이 되어 살아가야 한다는 인본주의의 입장. 불교의 인본주의(휴머니즘)
㉢ 수행의 방법 : 주술적인 기도나 신비적인 체험에 의존 하지 않음. 스스로 노력 → 계속된 자기 계발 → 심신의 자유로운 상태인 해탈의 경지에 도달. 석가의 불교 : 자립신앙
㉣ 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감정의 문제로 처리하지 않고 이성의 힘을 통해서 해결.
해탈은 열반으로 가는 중간 과정이며 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이 존재한다. 석가는 지적인 측면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불교학자들은 주장한다.
사성제 :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 고집멸도
고 : 이 세상은 고통이라는 진리. (=일체개고와 같은 의미) -4가지 생로병사, 윤회, 업보, 카르마
집 : 고통의 원인은 집착 이 세상의 고통의 원인을 말해주고 있다. 그것은 즉 집착이다. 삼독 : 탐, 진, 치(탐욕, 성냄, 어리석음)
멸 : 번뇌를 멸하고, 열반, 해탈에 이른 상태. 여기서 번뇌란 위에서 말한 삼독(괴로움의 근본 원인)을 말한다. 연기를 깨달아야 한다. (명)
도 : 열반에 도달하기 위한 중도의 수행법.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중도) 수행법을 의미하며 중도의 수행법으로는 8가지 수행법으로 팔정도가 있다. 바른 견해, 바른 뜻, 바른말, 바른 행위, 바른 생활, 바른 노력, 바른 생각, 바른 선정이 있다. 계율을 지키는 공부를 계학, 고유하고 편안한 경지에 머무르는 공부를 정학, 사성제를 바르게 아는 공부를 혜학이라고 한다. 계학, 정학, 혜학 세 가지를 묶어서 삼학이라고 부른다.
진리를 깨달아 해탈, 열반하여 극락왕생에 이르는 것이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5. 석가는 불방일(不放逸)을 강조한다. 불방일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세요.
게으름은 모든 악덕의 근원이고, 부지런함은 모든 좋은 일의 원인이고 시작이고 바탕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