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식사요법은 음식을 무조건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것이 아니고 각 개인의 요구량에 맞는 음식의 양, 종류 및 섭취시간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음식 섭취를 통한 혈당을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당뇨병은 식생활 관리가 필수인데요. 적절한 식사요법을 통해 혈당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당뇨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당뇨 관리를 위한 식사법! 당뇨 식이요법 기본원칙 6가지
당뇨 관리를 위한 식사법! 당뇨 식이요법 기본원칙 6가지
당뇨병은 왜 생길까요? 당뇨병은 단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기는 병일까요? 정답은 X입니다. 당뇨병이란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의해 일어나는 대사 질환입니다. 고혈당으로 인해 여러 증상 및 징
blog.som-mong.com
당뇨가 있는 사람들은 성별, 나이, 체중, 활동량에 따라서 먹어야 하는 밥의 양이 다릅니다. 그렇다면 나에게 적당한 한 끼 식사량은 얼마일까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적절한 밥 한공기 계량 방법과 칼로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나에게 맞는 밥 한공기 계량하기
준비물
- 다양한 크기의 밥공기 몇 개, 저울, 식판
- 주걱, 숟가락, 계량컵, 종이 포일, 종이컵
- 즉석 밥, 식빵, 크래커, 미숫가루, 시리얼 등 곡류군
나의 하루 필요 열량(칼로리) 확인하기
- 대한 당뇨병학회 홈페이지 접속
- 당뇨병과 식생활 > 얼마나 먹을까요? > 하루 필요 열량 확인하기 클릭
- 키, 몸무게, 성별 입력
- 나의 하루 필요 열량(칼로리) 확인
당뇨 식단관리, 외식할 때는?
당뇨병이란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의해 일어나는 대사 질환입니다. 고혈당으로 인해 여러 증상 및 징후가 발생하고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만성 합병증을 유발하는데요. 오늘은 당뇨합병
blog.som-mong.com
나에게 맞는 밥 한공기 계량 순서
- 평소 사용하는 밥공기와 가장 유사한 밥공기를 저울에 올려놓고 영점을 맞춥니다.
- 본인이 평소 먹는 밥 양을 개인 밥공기에 담아봅니다.
- 밥을 한 숟가락 담아 몇 숟가락인지 확인합니다.
- 즉석 밥 양과 본인 밥 양을 비교해 봅니다.
- 식빵, 미숫가루, 크래커와 바꾸어 먹을 수 있는 밥 양을 눈으로 확인합니다.
참고 : 곡류군 바꿔먹기
당뇨 민간요법, 돼지감자/여주/브라질너트/홍삼 성분 및 주의사항
당뇨 민간요법, 돼지감자/여주/브라질너트/홍삼 성분 및 주의사항
이전의 포스팅에서 알 수 있듯 당뇨환자의 혈당관리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소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입니다. 당뇨의 식사요법에 있어 돼지감자, 여주 등 당뇨에 좋다는 다양한 식품
blog.som-mong.com
적정 칼로리에 맞는 밥 한공기 조절 팁
- 적당한 크기의 밥공기를 선택합니다. 밥 양 조절이 어렵다면 밑단이 좁은 밥공기를 선택하세요.
- 작은 숟가락 혹은 젓가락을 이용합니다.
- 저울에 식재료 자주 달아보아 눈대중치를 익혀둡니다.
- 즉석 밥의 용량이 다양하기 때문에 탄수화물 정보를 꼭 확인합니다.
- 제품의 영양정보를 눈여겨보세요.
참고 : 밥 눈대중치 익히기(종이컵 기준)
당뇨환자 음식 섭취 주의사항
- 과잉의 지방 섭취 주의합니다.
- 짠 음식의 섭취는 줄이고 싱겁고 담백한 음식 섭취를 권장합니다.
- 첨가당(설탕, 물엿 등)은 되도록 적게 섭취합니다.
당뇨식으로 적절한 상차림
식사 구성 중 반찬 종류에 곡류군이 있을 경우 밥 양을 조절하거나 반찬의 종류를 바꾸어 균형 있는 식사를 완성합니다.
상황별 당뇨 혈당관리 : 아플 때, 운동할 때
당뇨환자의 혈당관리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식사와 꾸준한 운동은 필수라는 것,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운동을 혈당을 낮추므로 많이 할수록 좋은 걸까요? 정답은 X입니다. 당
blog.som-mong.com
저혈당 증상과 대처법, 원인, 예방, 응급 상황
당뇨병 환자의 흔한 급성 합병증 중 하나가 바로 저혈당입니다. 저혈당은 약의 잘못된 투여, 식사나 운동량 변화와도 관련이 높습니다. 과도한 음주 역시 심한 저혈당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blog.som-mong.com
'건강하게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식사요법① 고혈압 이해하기 고혈압 기준, 원인, 증상, 혈압관리 (0) | 2022.11.19 |
---|---|
탈모 샴푸, 사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것! (0) | 2022.11.14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 내용 신청 대상 기간 반품 교환 (0) | 2022.11.01 |
안구 건조증 증상과 예방, 자가진단 및 생활수칙 (0) | 2022.10.31 |
추운 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주의, 지체없이 119 신고! (0)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