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게 살기

안구 건조증 증상과 예방, 자가진단 및 생활수칙

by som-mong 2022. 10. 31.
반응형

기온차가 심하고 건조한 가을엔 안구건조증을 주의해야 합니다. 기온차가 심하고 공기도 건조해지는 시기에는 눈과 피부도  건조해지기 쉽습니다.

안구건조증

특히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안구건조증 증상을 보이는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요. 생활습관만으로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수도 개선시킬 수도 있습니다. 건강하고 촉촉한 눈을 위한 안구건조증 예방수칙을 알려드립니다!

 

 

환절기 유행병 주의! 감기, 독감, 비염, 천식

 

환절기 유행병 주의! 감기, 독감, 비염, 천식

어느새 날씨가 제법 쌀쌀해졌습니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몸이 급격한 기온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환절기에는 감기, 독감

blog.som-mong.com

 

안구건조증의 주요 증상

안구건조증은 눈의 자극감, 이물감, 작열감, 점액성 물질 분비 등의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안구충혈

다음의 증상 중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 안구건조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안구 건조증 자가진단

  • 모래알이 들어간 듯 눈에 이물감이 있다.
  • 눈꺼풀이 무겁고 두통을 동반한다.
  • 눈이 뻑뻑하다.
  • 눈앞에 막이 낀 듯하다.
  • 눈이 쉽게 피로해져 책을 오래 보기 힘들다.
  • 바람이 불 때 눈물이 많이 난다.
  • 이유 없이 자주 충혈된다.
  • 안과에서 결막염 치료를 받았지만 증상이 계속된다.
  • 잘 쓰던 콘택트렌즈가 불편해졌다.
  • 자고 나면 눈꺼풀이 들러붙어 눈이 잘 떠지지 않는다.
  • 눈부심이 있어 눈이 자꾸 감긴다.
  • 눈이 쏟아지는(빠지는) 느낌이 든다.
  • 건조한 곳이나 오염이 심한 곳에서 가끔 눈이 화끈거린다.
  • 감정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울기가 힘들다.
  • 실 같은 분비물이 자꾸 생긴다.
  • 지속적인 시각 집중이 필요한 독서, 컴퓨터 작업이 어려워진다.
  • 건조증이 심하면 빛에 비정상적으로 예민해지고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거나 시력이 감소된다.

 

안구건조증 예방

  1. 안구건조증에서 약물치료보다 중요한 것은 생활환경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입니다.
    먼저 안구 건조를 악화시키는 요인을 피해야 합니다.
  2. 자극성이 있는 염색약을 이용한 머리 염색
  3. 자극성이 있는 눈 화장품이나 세면용품 사용
  4. 에어컨이나 선풍기의 장시간 사용 및 높은 온도의 자동차 히터나 온풍기 사용
  5. 건조한 밀폐 공간(겨울철 아파트)에서 환기 등을 소홀히 할 경우
  6. 장기간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
  7. 장시간의 독서나 TV 시청, 컴퓨터 작업을 할 경우
  8. 심한 긴장, 스트레스, 수면 부족
  9. 일부 약제(신경안정제, 혈압강하제, 골다공증 호르몬제, 항히스타민제 등)를 사용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한 생활수칙

안구건조증은 몇 번의 치료로 완쾌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심각한 병증이 없어 눈에는 큰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흔한 만성질환이므로 지나친 우려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눈꺼풀 위생,습도 유지, 근거리 작업 후의 휴식, 불필요한 약제사용의 중단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이 중요합니다.

인공눈물

  1. 안구가 건조하지 않도록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조절한다.
  2. 책, TV, 컴퓨터 모니터를 볼 경우에는 50분마다 10분씩 잠시 휴식 시간을 가진다.
  3. 황사, 꽃가루 등으로 인해 눈에 자극이 심해지는 시기에는 외출 시 보안경을 착용하거나 인공눈물을 자주 점안하여 이물질을 씻어낸다.
  4. 오메가 3오메가 6 지방산은 안구표면의 염증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이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등 푸른 생선 혹은 견과류를 섭취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