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게 살기

동절기 추가접종 2가백신 알아보기

by som-mong 2022. 12. 19.
반응형

백신의 감염 예방 효과는 접종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하게 되면 그 효과는 더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증이나 사망에 대한 예방 효과는 새로운 변이의 등장이나 시간의 경과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데요.

코로나2가백신

새롭게 나온 2가 백신 같은 경우에는 지금 유행하고 있는 변이 바이러스에 맞춤형 백신이기 때문에 감염 예방 효과도 기존 백신보다 훨씬 더 높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2가 백신을 접종하시게 되면 현재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와 중증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독감에 대한 모든 것, 증상/예방/전염/치료/코로나와 독감 구분

 

독감에 대한 모든 것, 증상/예방/전염/치료/코로나와 독감 구분

코로나19 유행 이후 처음으로 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독감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독감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보려고

blog.som-mong.com

 

2가백신특징

동절기 추가 접종 백신을 왜 ‘2가’ 백신이라고 하나요?

초기 바이러스와 현재 유행하는 오미크론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두 가지 성분이 함께 들어있어 2가 백신이라고 합니다. 이 중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BA.1 백신, BA.4/5으로 분류됩니다.

 

 

두 가지 백신의 공통점

2가 백신은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더 효과적입니다. 2가 백신은 두 가지 모두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오미크론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백신으로, 기존 단가 백신보다 1.56~2.6배 더 효과적입니다.

2가 백신은 세계 다수의 국가에서 접종하고 있는 안전한 백신입니다. 미국 FDA, 유럽 EMA, 일본, 영국 등 전 세계 다수 국가에서 안전성을 인정받아 승인 후 현재 접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동일한 백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후유증 예방과 회복을 위한 건강관리법 BEST 3

 

코로나 후유증 예방과 회복을 위한 건강관리법 BEST 3

최근 코로나 신규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사망자 수 또한 늘어나 평균 70여 명에 이르렀는데요. 하반기 코로나 재확산을 우려하는 상황 속에서 ‘롱 코로나 후유증’으로 불리는

blog.som-mong.com

 

 

2가백신종류

 

두 가지 백신의 차이점

  BA.1 백신 BA.4/5 백신
대응하는 바이러스 오미크론 바이러스(BA.1)
→ 2022년 1~3월 주로 유행
오미크론 바이러스(BA.5)
→ 2022년 7월 이후 지금까지 유행
효과성 연구결과 2가 백신 접종은 기존 백신 접종보다
BA.1에 1.75배 높은 중화항체를 보임
2가 백신 접종은 기존 백신 접종보다
BA.1에 3배, BA.5에 4배 높은 중화항체를 보임
제품 모더나 BA.1, 화이자 BA.1 화이자 BA.4/5
연령 18세 이상
(화이자 BA.1은 12세 이상 허가)
18세 이상
(화이자 BA.4/5는 12에 이상 승인)

 

어떤 백신을 맞아야 하나요?

활용 가능한 2가 백신으로 겨울 유행이 더 높아지기 전 지금 접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가 백신은 모두 기존에 접종하던 백신에 비해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효과적입니다. 다만, 두 백신끼리의 효과 차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지금 가장 많이 감염되는 오미크론 바이러스는 BA.5이지만 앞으로는 다른 마이러스(BQ1.1, XBB 등)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어느 것이든 빨리 맞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동절기 추가접종

동절기추가접종기간

집중접종기간

22.11.21(월)~12.31(토)

 

접종대상

기초접종(1, 2차)을 완료한 12세 이상 전 국민

60세 이상,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 적극 권고

 

백신 종류

오미크론 대응 2가 백신(3종)

모더나 BA.1
화이자 BA.1
화이자 BA.4/5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백신도 보조적으로 활용

*12~17세 청소년은 화이자, 노바백스 백신만 활용

 

접종 간격

마지막 접종일로부터 3개월(90일) 이후 접종 가능

*확진자의 경우, 자연면역을 고려하여 확진일로부터 3개월 이후로 접종을 연기할 수 있음

 

접종방법

  • 현장 접종 : 사전예약 없이 의료기관의 백신 보유 여부 확인 후 접종
  • 사전 예약 : 누리집(대리예약 가능), 1339 콜센터, 주민센터 방문 등
  • 당일 접종 : 의료기관 예비명단, 민간 SNS(네이버, 카카오) 잔여백신 예약

 

 

 

 

기존 백신 접종자는 2가 백신 접종으로 감염위험을 56% 더 줄일 수 있고, 이상 사례 신고율은 기존 백신보다 훨씬(10분의 1 이하) 낮습니다.

 

 

롱 코비드, 코로나 후유증 증상과 치료

 

롱 코비드, 코로나 후유증 증상과 치료

최근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10만 명 이상, 위중증 환자는 500명 이상에 달하고 있는데요. 최근 사망자 수는 평균 70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전문가들이 하반기 코로나 재확산을 우려하는 상황 속에

blog.som-mo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