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태풍 '힌남노'가 빠른 속도로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입니다. 북상하면서 세력을 점점 키우는 중이라 우리나라에 많은 피해가 예상되고 있는데요. 얼마전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은 지 얼마 되지 않아 더 걱정이 됩니다. 침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침수 시 행동요령 매뉴얼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 호우 예보 시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침수나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호우주의보 경보 시
1. 도시 지역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은 안전을 위해 사전에 대피하거나 주민대피명령이 발령될 경우 대피장소 또는 안전지대로 반드시 대피한다.
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공사장근처는 가까지 가지 맙시다.
2. 해안 지역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공사장근처는 가까지 가지 맙시다.
해안도로에서는 운전하지 맙시다.
3. 농촌 지역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집주변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모래주머니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
4. 산악지역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재배시설등의 피해를 줄이려는 조치를 합시다.
기상정보와 강우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산사태의 징후
장마철에는 어느 때 보다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따라서 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산사태 발생 징후가 보이면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 땅속에 과포화된 지하수가 있다는 것, 산사태의 위험이 커진다.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 : 산 위의 지하수가 통과하는 토양층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므로 위험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 산사태가 발생하는 조짐이므로 미리 대피하는 것이 좋다.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 :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것으로 즉시 대피하고 행정기관에 신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