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대론2 [철학] 인식론-정합론에 대한 비판 [정합론에 대한 비판] 정합론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두 가지 비판을 살펴보면, 정합론은 한 믿음의 정당성을 그 믿음이 속한 체계와의 정합성에 의하여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합론에 따르면, 두 모순된 믿음들이 각기 다른 체계에 정합적으로 속함으로써 동시에 정당하게 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결론처럼 보인다. 정합론에 대한 다른 비판을 보면, 정합론에 의하여 인식적으로 정당하게 되었다고 간주하는 믿음들이 세계로부터 완전히 고립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두 비판의 공통점은 양자가 모두 인식 정당성과 진리의 연관성에 대한 특정한 견해에 호소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인식 정당성은 진리를 추구하고 거짓을 피하는 목적 아래서 이루어지는 평가적 작업.. 2022. 7. 10. [철학] 현대인식론 1. 선천적 정당화를 감각 경험과 무관성에 의거해 정의할 때 잘못된 점이 무엇인가? - 칸트는 선천적 지식을 경험과 무관성에 의거해서 정의했다. 선천적 지식개념은 선천적 정당화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 이유는 지식 실례를 선천적 지식으로 만드는 것이 바로 그 지식의 정당화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선천적 지식은 정당화가 선천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식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어떤 믿음의 정당화는 경험과 무관할 경우에 그리고 오직 그 경우에만 그 믿음이 정당화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째는 경험이라는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의 문제와 둘째는 경험과 무관함이라는 개념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의 문제이다. 경험이라는 것을 감각 경험을 의미한다고 한다면 감각 경험.. 2022. 6.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