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게 살기

겨울철 도로 살얼음 주의, 빙판길 차량 사고 예방과 대처법

by som-mong 2022. 12. 26.
반응형

최근 이르게 찾아온 한파와 기록적인 폭설이 이어지면서 도로 위 사고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도로와 항공, 여객선 등 교통마비가 이어지고 있는 와중에 얼어붙은 도로로 인해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생각보다 빠르게 찾아온 북극한파는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니 운전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빙판길안전운전

요즘같이 추운 날씨에는 기온이 영하가 아니어도, 눈이 아니라 비가 와도 도로가 미끄러울 수 있습니다. 때문에 반드시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운전 전 확인과 주의운전이 필요합니다.

 

겨울철 한파 대비 행동 요령, 겨울철 운전 요령

 

겨울철 한파 대비 행동 요령, 겨울철 운전 요령

폭설과 한파로 인해 최근 한랭질환 부상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수도관과 계량기 동파사고가 빈번하고 도로와 항공, 여객선 등 교통 또한 통제되고 있습니다. 학교가 휴교하는 지역도 있

blog.som-mong.com

 

겨울철 도로 위 살얼음 주의

겨울철안전운전

해가 늦게 뜨고 일찍 지는 겨울에는 출퇴근 시간(6~9시, 18~22시)에 빙판길 사고가 잦은데요. 지표 상태에 따라 위험 정도가 다릅니다. 비포장도로보다는 아스팔트,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산길과 산모퉁이, 터널 전후, 다리나 교각 위에서 부분적으로 도로 결빙이 생기기 쉽습니다.

 

도로 위 결빙이 생기는 경우

주로 영하의 기온에서 발생  

  • 전날 또는 낮에 내린 눈, 비가 얼었을 때(출퇴근길)
  • 산비탈에서 흘러내린 물이 도로에 얼었을 때
  • 안개가 낀 습한 날이나 서리로 지면이 얼었을 때

기온이 영상일 때도 발생  

  • 바람이 잘 통하고 해가 잘 들지 않아 기온보다 지면 온도가 낮은 곳

 

순식간에 얼어붙는 어는 비 위험

겨울철사고위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응달에서 도로가 어는 위험이 증가하지만 장소와 상관없이 강수만으로 결빙 위험이 생기기도 합니다. 영하의 구름 속에서 내리던 눈이 영상의 대기 중간층에서 녹은 뒤 영하권인 지표면 부근에서 빗방울이 과냉각되어 지표면에 닿자마자 얼어붙기도 하는데요. 특히 도로면의 온도가 영하인 경우 도로 위 살얼음의 원인이 됩니다.

 

 

철저한 대비로 큰 피해를 막기

비나 눈 예보가 있을 때는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꼭 주의하여 운전하세요. 

어는 비 예보

  • 날씨누리(PC, 모바일) → 영상·일기도 → 어는 비
  • 기상레이더로 어는 비 가능역 탐지 및 1~3단계로 발표

 

도로 CCTV 기반 강수 분석

  • 날씨마루 → 교통·물류
  • 7개 주요 고속도로와 9개 서울도시고속도로의 비·눈·안개 정보를 분석한 교통상황, 위험 등을 안내

 

안전 운전 요령 확인 및 준수

  • 안전거리 확보
  • 감속 운행
  • 타이어 상태(마모, 공기압) 등 차량 점검
  • 스노체인, 삽, 스프레이 등 구비

 

빙판길 사고 예방과 대처법

속도를 줄이는 방법이 중요

운전 시 헤드램프를 켰을 때 아스팔트가 반사되어 평소보다 상당히 빛난다 싶으면 도로가 얼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차량이 미끄러짐을 느끼면 당황하여 핸들을 꺾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아주 위험한 행동입니다. 차의 속력이 크면 클수록 마찰력도 높아야 하는데 언 도로 위에서는 마찰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제어하는 힘을 잃어 그만큼 자동차의 방향을 제어하기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도로가 얼었다는 것을 판단한 후 속도를 줄일 때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으면 미끄러지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 밟아야 합니다.

 

 

즉, 겨울철에 블랙아이스가 생기기 쉬운 도로에서 운전할 때는 평소보다 절반가량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운전 중에 블랙아이스를 발견하면 차량의 속도를 낮추고 앞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블랙아이스 구간에서는 가능한 한 브레이크나 핸들을 조작하지 않고 지나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건강하게 살기] - 추운 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주의, 지체없이 119 신고!

 

추운 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주의, 지체없이 119 신고!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계절에는 특히 심뇌혈관질환을 주의해야 합니다. 추운 날에는 특히 심근경색과 뇌졸중이 많이 발생하는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신속히 가깝고 큰 병원

blog.som-mong.com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