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방송된 세계 다크투어에서 백두산 폭발을 예견하면서 미처 알지 못했던 화산 폭발의 위험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백두산은 지구 역사상 다섯 번에 불과한 슈퍼 화산 중에 하나입니다.
약 천 년 전 엄청난 규모의 폭발을 일으켰던 백두산의 폭발 주기는 100년이며 마지막 폭발은 1925년입니다. 3년 후면 다시 100년이 되는 것이죠.
이날 방송에서는 이독실 다크가이드는 최근 백두산에서 보이는 이상 징후를 언급하며 ‘폭발 가능성 100%’라는 세계 과학자들의 의견을 전했습니다. 2003년부터 백두산 정상의 나무가 화산가스로 인해 말라가는 것과 천지 주변의 온천 수온이 80도까지 상승하는 것이 대표적인 현상인데요.
화산 폭발의 공포가 더 이상 남의 얘기가 아닌 지금, 대비가 필요합니다. 화산폭발 재난행동요령을 미리 알아두세요!
재난에 대비하자! 생존 배낭 꾸리기!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아수라장이 되어버린 도심의 모습에 다들 깜짝 놀라셨죠? 전문가들은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이제 언제든지 이러한 폭우가 쏟아져도 이상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
blog.som-mong.com
화산폭발(화산재 낙하) 시 국민행동요령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을 안겨주는 재난 화산폭발 화산폭발이 더욱 무서운 이유는 바로 화산재 때문입니다. 2015년 9월 일본에 아소산에서 폭발적 분화가 발생했습니다. 분화로 인한 연기가 상공 2,000m까지 치솟았고 이 화산재는 인근 지역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는데요. 한 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는 화산폭발을 막을 순 없지만 사전에 대비책을 충분히 습득해 놓는다면 재난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화산재 낙하 전
- 문틈이나 환기구는 물 묻힌 수건으로 막고, 창문은 테이프로 막는다.
- 배수로가 화산재로 막히지 않게 낙수받이나 배수관을 지붕 홈통으로부터 분리한다.
-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기종, 천식 환자는 실내에 머무르도록 한다.
- 빗물을 급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 수집 시설과 탱크에 연결된 파이프를 분리한다.
화산재 낙하 중
- 가능한 실내에 머무른다.
- 실외에 있을 경우 자동차나 건물 등으로 신속하게 대피한다.
- 마스크나 손수건, 옷으로 코와 입을 막는다.
- TV나 라디오로 재난 방송을 듣는다.
- 각막 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다.
- 물에 화산재가 들어간 경우, 가라앉은 후 웃물을 사용한다.
※물에 화산재가 들어 있어도 대부분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음. - 채소는 잘 씻어 먹도록 한다.
화산재 낙하 후
- 고글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내‧외 및 자동차를 신속하게 청소한다.
- 가전제품은 청소하기 전에 전원을 차단한다.
- 밖에서 입은 옷은 갈아입고 몸을 깨끗이 씻는다.
- 수거한 화산재는 튼튼한 비닐봉지에 넣어 지정된 장소에 버린다.
- 화산재가 날리지 않도록 물을 가볍게 뿌리거나 젖은 걸레를 사용한다.
‣ 실외청소
- 청소 시 건물이나 기계, 자동차, 상하수도시설에 화산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기계는 화산재를 전부 청소할 때까지 전원을 꺼 두거나 밀봉해 둔다.
- 지붕의 화산재는 적정한 시기에 청소한다.
- 화산재에 물을 많이 뿌리면 단단한 덩어리가 되므로 주의한다.
《 실외청소 시 주의사항 》권장사항
금지사항
|
‣ 실내청소
- 카펫이나 가구, 가전제품 등은 진공청소기를 사용해 청소한다.
- 창문이 자주 열어야 하는 경우에는 하루에 여러 번 청소를 실시한다.
- 솔이 달린 바닥용 청소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 환풍기나 의류 건조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 실내청소 시 주의사항 》권장사항
금지사항
|
자동차 관련 주의사항
- 화산재는 자동차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운전을 자제한다.
- 불가피한 경우 전조등을 켜고 천천히 주행한다.
- 와이퍼 사용 시 유리에 흠집이 생길 수 있으므로 세정액을 충분히 사용한다.
- 엔진오일과 오일필터, 에어필터를 자주 교환한다.
- 차량 내부는 물론 엔진, 트렁크 등을 깨끗이 청소한다.
※ 브러시로 털면 차에 흠집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 - 주요 부품은 청소하고, 청소 전 공기흡입구 및 전자부품을 밀봉한다.
'건강하게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도로 살얼음 주의, 빙판길 차량 사고 예방과 대처법 (0) | 2022.12.26 |
---|---|
겨울철 한파 대비 행동 요령, 겨울철 운전 요령 (0) | 2022.12.22 |
한 해를 현명하게 보내기 위한 연말연시 건강 관리 방법 (0) | 2022.12.19 |
동절기 추가접종 2가백신 알아보기 (0) | 2022.12.19 |
모임 많은 연말연시, '알코올성 위염' 주의!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