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철학] 주희의 자연관 주희는 자연의 시간적인 순서와 도덕적인 질서를 연계시킨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서가 인의예지의 순서와 일치한다고 한다. 봄은 인, 여름은 의, 가을은 예, 겨울은 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의예지의 구조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공경지심, 시비지심의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그것은 『주역』의 원형이정의 구조와 연결된다고 한다. 이러한 유비는 한대 이래로 중국적 세계관의 전형이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서로 일대일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주희는 인의예지, 원형이정, 춘하추동의 일대일 유비가 어렵다고 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다만 인의예지의 인, 원형이정의 원, 춘하추동의 춘의 의미만을 살리고자 하였다. 인간과 자연에 걸쳐 상생하는 마음이 곧 사람이고 봄이라는 것이다. 주희는 이상과 같은 자연.. 2022. 6. 25.
[철학] 불교의 자연관 한국불교 문화에는 환경을 파괴하는 모습도 있고, 자연과 친화적인 모습도 있다. 불교사찰에서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고 산림을 훼손한 사례가 적지 않게 보도되고 있지만, 또 그와 반대로 한국불교 문화 속에서는 환경을 적게 오염시키고 자연을 보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덕목과 시설도 남아있다. 불교사찰이 자연을 훼손하는 부정적인 모습은 자연림을 훼손하는 것,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 쓰레기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훼손은 관광지로서의 사찰의 환경, 사찰 관계자들의 환경적 지식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 무분별한 사찰의 불사, 관리의 부실, 사찰 환경문제에 대한 참여와 연대의 부족, 환경교육과 홍보의 부족 등이 그 원인이다. 그에 반해, 친환경적인 덕목과 시설로서 불살생의 생명 운동인 ‘채식 문화’, 음식쓰레기 문.. 2022. 6. 25.
[철학] 형이상학-악의 문제 악의 문제는 유명한 철학적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왜 신은 악을 허용하느냐는 물음이 가장 흔하지만, 이는 악의 문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유대 기독교적 전통에서 신은 전선 하다고 간주하며, 바로 이 때문에 신이 악을 허용한다면 심각한 지적, 실제적 문제가 된다. 13세기의 철학자 아퀴나스는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드러내어 표현하였다. 악의 문제 심은 실존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만일 두 가지 반대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무한하다면 나머지 하나는 아예 없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이라는 낱말은 그가 무한한 선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만일 신이 실존한다면 어떠한 악도 발견될 수 없다. 그러나 세상에는 악이 있다. 그러므로 신은 실존하지 않는다. 아퀴나스의 표현은 문제를 명확.. 2022. 6. 24.
[철학] 형이상학 형이상학은 많은 분야들 중 존재론은 가장 기초적인 사물들에 관한 형이상학의 한 분야이다. 존재론에 종사하는 철학자는 평범한 견해에 숨겨진 놀랄만한 존재자를 발견할 수 있노라고 논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 존재자는 어떤 익숙한 사실들에 묻혀있다고 기대된다. 그 존재자는 일단 우리가 올바른 방식으로 생각하자마자 우리에게 명백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 존재자를 반대하는 사람에 따르면, 그것의 명백한 실존은 하나의 환상이다. 사과 세 개를 생각해 보자. 그 사과들이 몇 가지 공통점을 갖는다는 것은 평범한 사실이다. 속성은 색, 형태, 구성, 위치, 온도, 나이 등을 포함한다. 속성이란 어쨌든 무언가가 될 수 있는 어떤 것을 말한다. 만일 어떤 것들이 실존한다면, 우리는 그것들에게 용어 ‘속성’을 할당한다. 그러므.. 2022.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