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주희의 자연관
주희는 자연의 시간적인 순서와 도덕적인 질서를 연계시킨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서가 인의예지의 순서와 일치한다고 한다. 봄은 인, 여름은 의, 가을은 예, 겨울은 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의예지의 구조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공경지심, 시비지심의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그것은 『주역』의 원형이정의 구조와 연결된다고 한다. 이러한 유비는 한대 이래로 중국적 세계관의 전형이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서로 일대일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주희는 인의예지, 원형이정, 춘하추동의 일대일 유비가 어렵다고 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다만 인의예지의 인, 원형이정의 원, 춘하추동의 춘의 의미만을 살리고자 하였다. 인간과 자연에 걸쳐 상생하는 마음이 곧 사람이고 봄이라는 것이다. 주희는 이상과 같은 자연..
2022. 6. 25.
[철학] 불교의 자연관
한국불교 문화에는 환경을 파괴하는 모습도 있고, 자연과 친화적인 모습도 있다. 불교사찰에서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고 산림을 훼손한 사례가 적지 않게 보도되고 있지만, 또 그와 반대로 한국불교 문화 속에서는 환경을 적게 오염시키고 자연을 보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덕목과 시설도 남아있다. 불교사찰이 자연을 훼손하는 부정적인 모습은 자연림을 훼손하는 것,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 쓰레기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훼손은 관광지로서의 사찰의 환경, 사찰 관계자들의 환경적 지식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 무분별한 사찰의 불사, 관리의 부실, 사찰 환경문제에 대한 참여와 연대의 부족, 환경교육과 홍보의 부족 등이 그 원인이다. 그에 반해, 친환경적인 덕목과 시설로서 불살생의 생명 운동인 ‘채식 문화’, 음식쓰레기 문..
2022.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