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적당히 공부하기49 [철학] 인식론-정합론에 대한 비판 [정합론에 대한 비판] 정합론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두 가지 비판을 살펴보면, 정합론은 한 믿음의 정당성을 그 믿음이 속한 체계와의 정합성에 의하여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합론에 따르면, 두 모순된 믿음들이 각기 다른 체계에 정합적으로 속함으로써 동시에 정당하게 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결론처럼 보인다. 정합론에 대한 다른 비판을 보면, 정합론에 의하여 인식적으로 정당하게 되었다고 간주하는 믿음들이 세계로부터 완전히 고립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두 비판의 공통점은 양자가 모두 인식 정당성과 진리의 연관성에 대한 특정한 견해에 호소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인식 정당성은 진리를 추구하고 거짓을 피하는 목적 아래서 이루어지는 평가적 작업.. 2022. 7. 10. [철학] 인식론-정합론의 유형들 [정합론의 유형들] - 긍정적 정합론과 부정적 정합론 정합론은 긍정적 근거의 존재와 논박자 모두를 포함하여 정합성을 정의하는가, 아니면 논박자의 부재만으로 정합성을 정의하는가에 따라, 긍정적 정합론과 부정적 정합론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부정적 정합론에 따르면, 한 명제에 대한 믿음이 정당하기 위해서는 그 명제를 믿기 위한 별도의 긍정적인 근거를 가질 필요는 없고, 다만 그 믿음에 대한 논박자가 없는 것으로 족하다. 한 믿음이 그것이 속한 믿음 체계 내에 논박자를 갖고 있지 않으면 그 믿음은 체계와 정합적이고, 따라서 정당하다는 것이다. 반면, 긍정적 정합론에 따르면,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해서는 긍정적 근거의 존재와 논박자의 부재가 모두 요구된다. 이 이론에서는, 한 믿음이 그것이 속한 믿음 체계 .. 2022. 7. 9. [철학] 인식론-기초적 믿음에 대한 기준(토대론) 경험주의 전통은 경험의 영역에서 확실성의 영역을 찾아 지식의 체계를 토대론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현재 자신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능력을 내성이라고 할 때, 이들 토대론자들은 내성적 믿음을 기초적 믿음이라고 간주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내성적 믿음은 는 기초적 믿음에 대한 기본적 정의를 만족하기 때문에 기초적 믿음이 될 수 있다. 감각에 주어진 것에 대한 믿음을 기초적 믿음으로 간주하는 토대론은 지식의 체계를 확실성의 기반 위에 재구성하려 한다는 점에서 앞선 토대론과 일치한다. 이들은, 내성적 믿음들은 지각적 믿음이 갖고 있지 못한 확실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내가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려 하지 않는 한, 내성을 통한 나의 감각 경험에 대한 믿음은 틀릴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합론자들이 흔히.. 2022. 7. 8. [철학] 인식론-인식정당성에 대한 정합론과 토대론 [인식정당성에대한 정합론과 토대론] 토대론이 옹호하는 구조는 개별적 믿음들이 각기 정당하게 되었을 때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구조인 반면, 정합론이 옹호하는 구조는 개별적 믿음들이 정당하게 되기 위한 선행적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정합론에 따르면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해서는 다른 믿음들과 더불어 잘 짜여진 정합적인 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즉,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해서는 우선 뗏목과 같이 잘 짜인 체계가 있어야 하고, 그 믿음은 그러한 잘 짜인 체계에 속하기 때문에 정당하게 된다. 그렇다면, 정합론이 옹호하는 인식 정당성의 구조는 개별적인 믿음이 정당하게 된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믿음들이 정당하게 되기 위한 선행적 조건을 이룬다. 정합론에서는 인식 정당성의 일차적 소재가 개별적.. 2022. 7. 7.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