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적당히 공부하기49

[철학] 윤리학-고령화 사회와 노인 문제 저출산 현상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로 인해 2020년 노인인구가 900만 명에 육박했고, 2030년에는 1,2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현재 79세(남자 76세, 여자 82세)로 1960년 52세에 비해 27년이나 길어졌다. 이는 세계 다른 나라 중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예견과 동시에 인구 고령화에 대해 우리 사회가 제한된 기간 내 시급히 준비해야 할 일들이 많음을 의미한다. 노인 문제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노인 문제의 원인부터 살펴보자.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노령화는 자연적인 현상이고 노령화에 의한 생리적, 신체적 변화는 강화보다는 약화로 변화해 간다. 이런 자연적 현상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저항의 약화는 각종 만성병과 노인병에 시달리.. 2022. 7. 6.
[철학] 인식론-정합설 2. 정합론 정합론은 인식 정당성의 구조가 뗏목과 같음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통나무들 사이의 지지 관계는 일방향적이지 않으며, 피라미드의 경우에서와 같은 초석이란 있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이 다른 믿음들과 더불어 하나의 정합적으로 잘 짜여진 체계를 이루고 있는가 하는 것이며, 이러한 고려는 모든 믿음의 정당성 결정에 핵심적이다. 결국,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는가는 그 믿음이 자신이 속한 체계의 정합성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사실은 모든 믿음의 정당성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균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한 체계를 이루는 믿음들 사이에 정당하게 되는 방식에는 어떠한 차이도 있을 수 없다. 이렇게 짜여진 체계 속에서 모든 믿음은 서로.. 2022. 7. 5.
[철학] 인식론-토대론 정당한 믿음들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어떤 구조를 갖게 되는가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 토대론과 정합론은 논쟁이 되어왔다. 비유에 따르면 토대론은 인식 정당성의 구조에 관하여 피라미드식 구조를 옹호하는 입장이며, 정합론은 뗏목식 구조를 옹호하는 입장이다. 피라미드에서는 각 돌이 위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일방향적으로 그리고 계층적으로 의존하면서 자시의 위치를 유지한다. 반면에 뗏목에서는 각 통나무가 서로 상호 간 유기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배를 이루게 된다. 1. 토대론 (기반주의) (1) 정당한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에 의존하는 믿음들과 다른 믿음들에 의존하지 않고서 정당하게 되는 믿음들의 두 부류로 구분된다. - 이는 과 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기초적 믿음들이 인식 정당성의 원.. 2022. 7. 4.
[철학] 윤리학-낙태에 관한 입장 자신의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신이 내려주신 커다란 축복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올바른 성관계를 통한 임신만을 기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대 우리 사회에서는 사회적 문란을 일으키는 일들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이루어진 임신이 많다. 원치 않는 임신은 여성과 태어날 아이에게 결코 행복한 일이 아니다. 원치 않는 임신을 한 어린 여학생이 신부님에게 상담을 청하러 왔다. 신부님은 어떻게든 아이를 낳으면 자기가 키워주겠다며, 지우지 말 것을 권했다. 그러자 그 여학생은 눈물을 흘리며 신부님께 말했다. '신부님은 제 배 속의 아이를 정말 사랑하시는군요.'. 신부가 당연한 일이라 대답하자 다시 여자아이가 신부에게 물었다. '그럼 신부님, 신부님께서는 저는 사랑하시지 않나요?'라고. 여학생의 질문에 신부.. 2022.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