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철학] 송명성리학 학자들과 주요 흐름(2) (5) 정호와 정이 (이정) 도학(리학)을 창시했으며 정호와 정이는 형제이다. 정호와 정이를 이정으로 부른다. a. 정호는 자기 내면에서 천리 체인을 강조하였으나 정이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외부 사물에 대한 탐구를 통해 천 리를 인식하는 것을 중시했다. 리학과 심학을 구분한 것이다. b. 정호는 세상을 하나의 완전한 것으로 바라보았으나 정이는 세상을 선과 악의 이원적 구조로 파악하고 악함이 선에 의해 제압되는 보다 완전한 세상을 바랐다. c. 정호는 천리를 내면적 성찰을 통해 체인 될 수 있으며 외부 사물에서 구할 필요가 없다고 간주하였으나 정이는 자기반성을 통한 천리의 파악이 가능하지만 외부 사물에 대한 지식이 확대되어야 완전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즉, 정호는 도덕적 지식에 중심을 두고 정이는.. 2022. 7. 12. [철학] 송명성리학 학자들과 주요 흐름(1) [성리학 학자들과 주요 흐름] (1) 한유 중국 당나라 때의 정치가이며 사상가, 시인이며 문장가로 활약한 사람이다. 당시 중국 사회의 문제를 불교에서 찾았다. 백성들이 윤회를 생각하며 현실을 부정적이고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그 원인이라고 보았다. 또한 당시 귀족들이 불상에 재산을 기부하며 사회 역할에 소홀한 것이 또 다른 원인이라고 보았다. 두 가지 문제의 원인은 불교였기 때문에 신유학을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다. 불교를 배척한 사상을 배불(排佛)사상이라고 한다. 당시 불교 승려의 특권에 반대하고 봉건적 사회질서를 중시했다. 고문(古文) 부흥 운동이란 한나라 이전의 오래된 문서들을 회복시킬 것을 제안한 운동이다. 공자와 맹자의 고대 유학을 오경정의로 압축하였고 한나라 이전의 유학을 비판하였다. 또.. 2022. 7. 11. [철학] 인식론-정합론에 대한 비판 [정합론에 대한 비판] 정합론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두 가지 비판을 살펴보면, 정합론은 한 믿음의 정당성을 그 믿음이 속한 체계와의 정합성에 의하여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합론에 따르면, 두 모순된 믿음들이 각기 다른 체계에 정합적으로 속함으로써 동시에 정당하게 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결론처럼 보인다. 정합론에 대한 다른 비판을 보면, 정합론에 의하여 인식적으로 정당하게 되었다고 간주하는 믿음들이 세계로부터 완전히 고립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두 비판의 공통점은 양자가 모두 인식 정당성과 진리의 연관성에 대한 특정한 견해에 호소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인식 정당성은 진리를 추구하고 거짓을 피하는 목적 아래서 이루어지는 평가적 작업.. 2022. 7. 10. [철학] 인식론-정합론의 유형들 [정합론의 유형들] - 긍정적 정합론과 부정적 정합론 정합론은 긍정적 근거의 존재와 논박자 모두를 포함하여 정합성을 정의하는가, 아니면 논박자의 부재만으로 정합성을 정의하는가에 따라, 긍정적 정합론과 부정적 정합론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부정적 정합론에 따르면, 한 명제에 대한 믿음이 정당하기 위해서는 그 명제를 믿기 위한 별도의 긍정적인 근거를 가질 필요는 없고, 다만 그 믿음에 대한 논박자가 없는 것으로 족하다. 한 믿음이 그것이 속한 믿음 체계 내에 논박자를 갖고 있지 않으면 그 믿음은 체계와 정합적이고, 따라서 정당하다는 것이다. 반면, 긍정적 정합론에 따르면,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해서는 긍정적 근거의 존재와 논박자의 부재가 모두 요구된다. 이 이론에서는, 한 믿음이 그것이 속한 믿음 체계 .. 2022. 7. 9.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