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철학] 인식론-기초적 믿음에 대한 기준(토대론) 경험주의 전통은 경험의 영역에서 확실성의 영역을 찾아 지식의 체계를 토대론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현재 자신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능력을 내성이라고 할 때, 이들 토대론자들은 내성적 믿음을 기초적 믿음이라고 간주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내성적 믿음은 는 기초적 믿음에 대한 기본적 정의를 만족하기 때문에 기초적 믿음이 될 수 있다. 감각에 주어진 것에 대한 믿음을 기초적 믿음으로 간주하는 토대론은 지식의 체계를 확실성의 기반 위에 재구성하려 한다는 점에서 앞선 토대론과 일치한다. 이들은, 내성적 믿음들은 지각적 믿음이 갖고 있지 못한 확실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내가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려 하지 않는 한, 내성을 통한 나의 감각 경험에 대한 믿음은 틀릴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합론자들이 흔히.. 2022. 7. 8. [철학] 인식론-인식정당성에 대한 정합론과 토대론 [인식정당성에대한 정합론과 토대론] 토대론이 옹호하는 구조는 개별적 믿음들이 각기 정당하게 되었을 때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구조인 반면, 정합론이 옹호하는 구조는 개별적 믿음들이 정당하게 되기 위한 선행적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정합론에 따르면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해서는 다른 믿음들과 더불어 잘 짜여진 정합적인 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즉,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해서는 우선 뗏목과 같이 잘 짜인 체계가 있어야 하고, 그 믿음은 그러한 잘 짜인 체계에 속하기 때문에 정당하게 된다. 그렇다면, 정합론이 옹호하는 인식 정당성의 구조는 개별적인 믿음이 정당하게 된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믿음들이 정당하게 되기 위한 선행적 조건을 이룬다. 정합론에서는 인식 정당성의 일차적 소재가 개별적.. 2022. 7. 7. [철학] 윤리학-고령화 사회와 노인 문제 저출산 현상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로 인해 2020년 노인인구가 900만 명에 육박했고, 2030년에는 1,2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현재 79세(남자 76세, 여자 82세)로 1960년 52세에 비해 27년이나 길어졌다. 이는 세계 다른 나라 중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예견과 동시에 인구 고령화에 대해 우리 사회가 제한된 기간 내 시급히 준비해야 할 일들이 많음을 의미한다. 노인 문제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노인 문제의 원인부터 살펴보자.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노령화는 자연적인 현상이고 노령화에 의한 생리적, 신체적 변화는 강화보다는 약화로 변화해 간다. 이런 자연적 현상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저항의 약화는 각종 만성병과 노인병에 시달리.. 2022. 7. 6. [철학] 인식론-정합설 2. 정합론 정합론은 인식 정당성의 구조가 뗏목과 같음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통나무들 사이의 지지 관계는 일방향적이지 않으며, 피라미드의 경우에서와 같은 초석이란 있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이 다른 믿음들과 더불어 하나의 정합적으로 잘 짜여진 체계를 이루고 있는가 하는 것이며, 이러한 고려는 모든 믿음의 정당성 결정에 핵심적이다. 결국, 한 믿음이 정당하게 되는가는 그 믿음이 자신이 속한 체계의 정합성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사실은 모든 믿음의 정당성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균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한 체계를 이루는 믿음들 사이에 정당하게 되는 방식에는 어떠한 차이도 있을 수 없다. 이렇게 짜여진 체계 속에서 모든 믿음은 서로.. 2022. 7. 5.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0 다음